윈도우11 복구 파티션 쉽고 빠른 방법: 완벽 가이드
목차
- 복구 파티션이란?
- 복구 파티션이 필요한 이유
- 윈도우11 복구 파티션 생성 방법
- 복구 드라이브 생성 도구 활용
- 명령 프롬프트(CMD) 활용
- 복구 파티션 활용 방법
- 시스템 복원
- 초기화
- 복구 파티션 관련 주의사항
본문
1. 복구 파티션이란?
복구 파티션은 윈도우11 운영체제 복구에 필요한 시스템 파일, 드라이버, 도구가 저장된 저장 공간입니다.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복구 파티션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복원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.
2. 복구 파티션이 필요한 이유
- 시스템 오류 복구: 윈도우 오류, 드라이버 문제, 악성코드 감염 등 다양한 시스템 문제 발생 시 복구 파티션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이전 상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.
- 시스템 초기화: 시스템 성능 저하, 잦은 오류 발생 등 시스템을 완전히 초기화해야 할 때 복구 파티션을 사용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 손실 방지: 시스템 오류로 인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을 때 복구 파티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.
3. 윈도우11 복구 파티션 생성 방법
복구 드라이브 생성 도구 활용
- 시작 메뉴에서 "복구 드라이브 만들기"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.
- "시스템 파일을 복구 드라이브에 백업합니다." 옵션을 선택하고 "다음"을 클릭합니다.
- USB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"다음"을 클릭합니다.
- "만들기"를 클릭하여 복구 드라이브 생성을 시작합니다.
- 생성 완료 후 "마침"을 클릭합니다.
명령 프롬프트(CMD) 활용
-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(CMD)를 실행합니다.
reagentc /info
명령어를 입력하여 복구 환경 상태를 확인합니다.reagentc /enable
명령어를 입력하여 복구 환경을 활성화합니다.diskpart
명령어를 입력하여 디스크 파티션 관리 도구를 실행합니다.list disk
명령어를 입력하여 디스크 목록을 확인하고 복구 파티션을 생성할 디스크를 선택합니다.select disk [디스크 번호]
명령어를 입력하여 디스크를 선택합니다.create partition primary size=[파티션 크기]
명령어를 입력하여 복구 파티션을 생성합니다. (예:create partition primary size=16GB
)format quick fs=ntfs label="Recovery"
명령어를 입력하여 파티션을 포맷하고 레이블을 지정합니다.assign letter=[드라이브 문자]
명령어를 입력하여 파티션에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합니다.exit
명령어를 입력하여 diskpart를 종료합니다.reagentc /setreimage /path [복구 파티션 드라이브 문자]:\RecoveryImage
명령어를 입력하여 복구 이미지를 복구 파티션에 설정합니다.
4. 복구 파티션 활용 방법
시스템 복원
- 윈도우 설정 > 시스템 > 복구 > 고급 시작 옵션 > 지금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.
- 문제 해결 > 고급 옵션 > 시스템 복원을 선택합니다.
- 복원 지점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하여 시스템 복원을 진행합니다.
초기화
- 윈도우 설정 > 시스템 > 복구 > 이 PC 초기화를 클릭합니다.
- "내 파일 유지" 또는 "모든 항목 제거" 옵션을 선택합니다.
- 화면 안내에 따라 초기화를 진행합니다.
5. 복구 파티션 관련 주의사항
- 복구 파티션을 삭제하거나 포맷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- 복구 파티션의 크기는 최소 16GB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복구 파티션 생성 후에는 정기적으로 복구 드라이브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무비메이커 동영상 강좌: 쉽고 빠른 영상 편집 방법 (0) | 2025.03.30 |
---|---|
윈도우11 원격 제어, 쉽고 빠른 방법 완전 정복! (0) | 2025.03.29 |
윈도우 11 업데이트, 쉽고 빠르게 연기하는 방법 (0) | 2025.03.27 |
윈도우 11 TPM 바이오스 설정, 쉽고 빠르게 따라하기 (0) | 2025.03.27 |
윈도우 홈 vs 프로,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 쉽고 빠른 비교 분석! (0) | 2025.03.27 |